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FTP
- ##_revenue_list_upper_##
- 사무실 필수 엑셀 기능
- 엑셀 화면 최적화
- AWS
- Burp Suite
- 엑셀 화면 크기 조정
- 리눅스 활용법
- 엑셀 문자열 처리
- 블로그 광고 설정
- 엑셀 사용자 편의 기능
- 셀 값 변환
- 비밀번호 복구
- 버프슈트
- 375926784
- 명령어 튜토리얼
- 광고 삽입 방법
- pfx 파일 오류
- 엑셀 화면 설정
- 버프스위트
- 목록 광고
- sleep 명령어
- ##_revenue_list_lower_##
- pam_tally2.so
- 인증서 저장 실패
- burpsuite
- 코드 수정 가이드
- 엑셀 작업 효율화
- shell 스크립트
- 파일업로드다운로드
- Yesterday
- Today
- Total
CentOS 6.5 다운받으러 가기http://securityspecialist.tistory.com/18- 설치된 CentOS를 눌러주시고 오른쪽 하단에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클릭 합니다. - Hardware부분 에서 CD/DVD (IDE)클릭 합니다.- 오른쪽에 Use ISO image file 부분을 선택 합니다.- Browse...을 클릭 합니다. - 다운 받아놓은 ISO 파일을 찾아서 선택 한 후 열기를 누릅니다. - OK를 클릭 합니다. 실행시키려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첫 번째 방법 맨위 상단 부분에 초록색 삼각형을 클릭 합니다.두 번째 방법 오른쪽 하단에 Play virtual machine를 클릭 합니다. - play를 시킨 다음에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함수를 이용해서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소스에 필요한 것들1.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정수형 함수를 만듭니다.- 덧셈 함수 이름 : add- 뺄셈 함수 이름 : minus- 곱셈 함수 이름 : multiplication- 나눗셈 함수 이름 : division2. 반복문을 이용해서 특정키를 누르기 전까지 계속 계산기가 돌아가게 하기3. 0번 종료 1번 덧셈 2번 뺄셈 3번 곱셈 4번 나눗셈 나머지 번호는 다시 입력 *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래스) (이름) = new (클래스())(함수가 선언된 클래스명) (내가 사용할 이름) = new (함수가 선언되 클래스명())예를 들어 Test라는 클래스에서 add라는 함수를 사용한다면main함수안에Test test = new Test();test..
centOs6.5 다운 받는 곳http://mirror.symnds.com/distributions/CentOS-vault/6.5/isos/x86_64/- CentOS-6.5-x86_64-bin-DVD1.iso를 다운 받습니다.대략 한시간 정도 걸립니다... ㅠㅠ 느긋하게 기다려 줍니다. vmware 다운 받는 곳http://www.vmware.com/products/player/playerpro-evaluation.html- Windows 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 다운 받아 놓은 VMware-player-12.5.1-4542065를 실행 시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 체크 박스를 클릭하지 않으면 Next가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 Next를 클릭 합니다. - Nex..
메소드(Method) 란?보통 다른 언어에서는 함수(Function)이라고 부르지만 자바(Java)에서는 메소드(Method)라고 부릅니다. 메소드(Method)를 설명하기 전에 집에서 사용하는 냄비를 생각해면, 우리는 냄비에 물, 채소, 양념 등등을 넣게 됩니다. 그리고 냄비를 이용해서 국, 찜, 라면 등등을 만들게 됩니다. 우리가 냄비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는 입력이 되고 국, 찜 라면 등등은 출력결과가 됩니다. 그렇다면 냄비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가 여기서 알고자 하는 메소드(Method) 입니다. 입력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결과물을 내어놓게 되는 것이 바로 메소드(Method)가 하는 일입니다. 메소드를 사용하는 이유?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자신이 반복해서 적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