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375926784
- pfx 파일 오류
- burpsuite
- SFTP
- AWS
- 버프스위트
- 광고 삽입 방법
- 엑셀 화면 최적화
- 사무실 필수 엑셀 기능
- 파일업로드다운로드
- 인증서 저장 실패
- pam_tally2.so
- ##_revenue_list_upper_##
- Burp Suite
- 엑셀 문자열 처리
- 비밀번호 복구
- 블로그 광고 설정
- 엑셀 화면 설정
- 엑셀 작업 효율화
- 리눅스 활용법
- shell 스크립트
- sleep 명령어
- 목록 광고
- 엑셀 사용자 편의 기능
- 코드 수정 가이드
- 명령어 튜토리얼
- 버프슈트
- 엑셀 화면 크기 조정
- ##_revenue_list_lower_##
- 셀 값 변환
- Yesterday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4)
이번 장에서는 import, from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1. import import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자기의 시스템 안에 데이터 등을 들여놓는 행위.’라고 쓰여 있습니다. 즉, 들여오다(가져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import는 이미 만들어진 파이썬 프로그램 파일, 라이브러리안에 있는 파일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라이브러리는 도서관이라는 뜻이고 파이썬 사용자들이 만든 유용한 프로그램들을 모아 놓은 곳 입니다.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는 파이썬 설치 시 자동으로 컴퓨터에 설치가 됩니다. * import는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이나 파이썬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만 불러올 수 있습니다. 1.1 import 기본형impo..
문제 1반복문 연습문제에서 풀었던 문제입니다. while문과 for문 중첩을 사용해서 구구단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전체를 출력하는 구구단이 아니라 1번을 입력하면 홀수 단(3, 5, 7, 9) 2번을 입력하면 짝수 단(2, 4, 6, 8) 3번을 입력하면 종료 그 외의 숫자를 입력하면 처음부터 다시 입력되게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니다. (단, 1번과 2번은 gugudan1(), gugudan2()라는 함수로 만들어 봅니다.) 출력 결과구구단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1. 홀수 구구단2. 짝수 구구단3. 종료 숫자를 입력 하세요: 4잘못 입력 하셨습니다. 1 ~ 3번 숫자를 입력하세요. 숫자를 입력 하세요: 13단3 * 1 = 33 * 2 = 6......9단9 * 1 = 99 * 2 = 18....
함수란?파이썬 함수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를 들겠습니다. 집에서 사용하는 냄비를 생각해면, 우리는 냄비에 물, 채소, 양념 등등을 넣게 됩니다. 그리고 냄비를 이용해서 국, 찜, 라면 등등을 만들게 됩니다. 우리가 냄비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는 입력이 되고 국, 찜 라면 등등은 출력결과가 됩니다. 그렇다면 냄비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가 여기서 알고자 하는 함수 입니다. 입력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결과물을 내어놓게 되는 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입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자신이 반복해서 적고 있는 것을 발견 할 때가 있는데, 그 때가 바로 함수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은 언제든지 계속 적으로 사용할 만..
문제 1if 조건문을 사용해서 양수와 음수 및 0을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세요. 출력 결과숫자를 입력 하세요: 11은 양수입니다.숫자를 입력 하세요: -1-1은 음수입니다.숫자를 입력 하세요: 00은 양수도 음수도 아닙니다. >>>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 하세요: "))숫자를 입력 하세요: 0>>> if num > 0: # 양수 판별print("%d은 양수 입니다." %num)elif num < 0: # 음수 판별print("%d은 음수 입니다." %num)else: # 그 외print("%d은 양수도 음수도 아닙니다." %num) 0은 양수도 음수도 아닙니다. 문제 2while문을 사용해서 (*)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세요. 출력 결과******************..
for문 이란?for문도 반복문(loop-control statements)의 한 종류입니다. while문과 for문은 각자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for문은 while문에 비해 직관적으로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1. for문 기본 구조 for 변수 in (범위 or 리스트 or 튜플 or 문자열) :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1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2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3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4 ...... for문의 기본 구조입니다. 범위, 리스트,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대로 대입되어 실행됩니다. 1.1 범위 예제범위 예제를 사용할 때 많이 쓰는 함수가 있습니다. 그 함수는 range(start, stop)입니다. start는 첫 번째로 시작할 위치고 stop는 ..
1. pass의 기본 개념pass란 참과 거짓에 따라 실행할 문장 혹은 동작을 정의할 때, 아무런 일도 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2. continue의 기본 개념continue는 반복문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반복문에서 조건에 맞지 않으면 반복문을 탈출 혹은 종료가 됩니다. 하지만 반복문을 종료시키지 않고 맨 처음의 조건문으로 가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가 생길 때 사용하는 것이 continue입니다. 3. 예제를 통해 알아 보기 “1부터 20까지 숫자 중에서 3의 배수를 제외해서 출력하는 하는 것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3.1 continue를 이용하기>>> i = 0>>> while i < 20 : i = i + 1 if i % 3 == 0: # 3의 배수 이면 continue # 나머지가 ..
while 이란?while문은 반복문(loop-control statements)의 한 종류입니다. 프로그램 내의 특정한 부분을 지정한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구조입니다. 즉, 제어문 안에 반복문이 존재합니다. 1. while문 기본 구조 while 조건문: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1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2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3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4 ...... while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에 while문 안에 속하는 문장들을 거짓이 될 때 까지 반복해서 수행합니다. “1부터 10까지 숫자를 출력 하세요”>>> i = 0>>> while i2. 반복문에서 자주 사용하는 함수(input())input() 함수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함수입니다. int(input..
제어문 이란?제어문 이란 말 그대로 제어하는 겁니다. 어떠한 상황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부분이 존재하면 그거에 맞게 실행됩니다. 예를 들어서 “배가 고프면 밥을 먹고, 배가 안고프면 밥을 안 먹는다.”라는 문장이 존재 할 때 선택지는 두 개가 됩니다. (밥을 먹는다, 밥을 안 먹는다) 즉, 조건을 판단해서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에 따라서 쓰는 것들이 제어문입니다. 제어문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인데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조건문, 반복적인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반복문이 있습니다. 1. if문의 구조 if 조건문: if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1 if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2 ......else: else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1 else 조건에 만족하는 문장2 ...... 제일 처음에는 if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i..
안녕하세요 초대장을 보내달라고 하셔서 보냈지만...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시면 난감합니다. 2일 안으로 만들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래 요건이 충족 하면 보내드리겠습니다.1. 본인이 꾸며갈 블로그 분야 ex) 맛집 탐방, 여행, 제품 리뷰, 프로그래밍 등 2. 메일아이디가 의심되면 발송 안합니다.ex) example01 02 03, 1234567, 등등 3. 성의 없는 내용은 당근 무시 4. 초대장이 필요한 분은 비밀 댓글로 써주세요. * 초대장 발송 메일 부분은 꼭 써주세요~!
문제 1list1 = ['a', 'c', 'd', 'b', 'e']라는 리스트를 list1 = ['a', 'b', 'c', 'd', 'e']로 만들어 보세요. 출력 결과>>> list1['e', 'd', 'c', 'b', 'a'] >>> list1 = ['a', 'c', 'd', 'b', 'e']>>> list1['a', 'c', 'd', 'b', 'e']>>> list1.sort()>>> list1['a', 'b', 'c', 'd', 'e']>>> list1.reverse()>>> list1['e', 'd', 'c', 'b', 'a'] 문제 2list2 = ['This', 'is', 'a', 'book.']라는 리스트를 change라는 변수를 사용해서 change = This is a book 라는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