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공부내용
리눅스 CentOS7 history 날짜/시간 적용 방법(HISTTIMEFORMAT)
ª_ª
2022. 12. 21. 10:04
728x90
반응형
1. HISTTIMEFORMAT란?
- 명령어 히스토리(Command history) 기능에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
- 사용자가 수행한 명령어를 추적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권장
2. HISTTIMEFORMAT 적용
2_1) HISTTIMEFORMAT 적용 전 |
명령어 : history |
[root@TEST01 ~]# history 13 history 14 ll 13 history |
![]() |
2_2) HISTTIMEFORMAT 적용방법 1 |
명령어 : vim /etc/profile |
맨 마지막 줄에 추가 export HISTTIMEFORMAT='%Y-%m-%d %H:%M:%S ' |
![]() |
2_3) HISTTIMEFORMAT 적용방법 2 |
명령어 : echo "export HISTTIMEFORMAT=\"%Y-%m-%d %H:%M:%S \"" >> /etc/profile |
![]() |
2_4) HISTTIMEFORMAT 적용 후 |
명령어 : history |
[root@TEST01 ~]# history 2 2022-12-21 02:07:53 history 3 2022-12-21 02:07:56 ll 4 2022-12-21 02:07:59 ps 5 2022-12-21 02:08:01 history |
![]() |
바로 적용이 되는게 아니여서 exit 후 su - 로 다시 접속 후 history를 치면 잘 적용 됩니다. ex) exit su - history |
728x90
반응형